앱.웹 기획/02. 분석 및 정의

WBS

BasicPlan 2023. 12. 8. 10:19
728x90

WBS는 Work Breakdown Structure의 약어로 ‘작업분류구조체계’라고도 합니다. 이 문서는 프로젝트에서 수행할 작업을 단계적, 업무적으로 정의한 문서이고, 프로젝트의 진행상황과 진척도를 관리하는 관리체계를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해당 문서는 기획자보다 프로젝트매니저 또는 프로덕트오너가 관리할 문서입니다.

 

WBS는 보통 프로젝트의 진행사항을 체크하기 위해 작성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해당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개발범위를 파악하고 주어진 일정을 체크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프로젝트 참여인원의 역량을 고려하여 일정과 개발범위의 조율이 필요한데, 통상적으로는 개발범위에 따라 일정이 늘어가기 보단 일정에 개발범위를 맞추는 게 일반적입니다. 물론 그 일정은 차츰 늘어나기 마련이고... 그 다음으로 크게 기획, 디자인, 퍼플리싱, 개발, 테스트에 따른 파트 별 업무를 구분짓고 각 파트 별로 세부적인 작업사항과 진행일정을 기재하게 됩니다.

주로 프로젝트매니저 또는 프로덕트오너가 관리하나 웹기획자가 대부분의 프로젝트매니저를 담당하는 일이 많기도 합니다.

 

 

 

 

위의 문서에는 “개발”에 대한 내용만 기재를 했습니다.

조금 더 풀어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① 분류 No. 테스크의 Depth에 따라 트리구조의 번호 라벨링과 테스크 분류 No.를 작성.

구분 세부 테스크를 묶어주는 그룹을 작성.
테스크 업무의 구체적인 타이틀을 작성하는 영역으로 위의 분류 No와 연계.
작업자(또는 파트) 해당 테스크를 수행할 작업자 또는 작업파트를 작성.
상태 테스크 별 진행 여부를 기록하며 진행중(In progress),완료(Completed),체크(Milestone)로 구분.
시작일 테스크의 작업 시작일자를 작성.
종료일 테스크의 작업 종료일자를 작성.
기간 테스크의 시작일자와 종료일자를 기준으로 업무일자를 작성.
진척도 테스크의 일정대비 진척도를 퍼센트(%)로 기록.
일정차트 프로젝트 전체 일자 별 셀에 기간과 진척도를 반영하여 색으로 표기되는 영역.

 

 

 

프로젝트의 성격이나 내용에 따라 WBS의 구조는 약간씩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위의 항목으로 정리됩니다.

그리고 그룹과 테스크를 위하여 프로젝트의 흐름에 맞춰 아래의 업무들을 기준으로 그룹(분석, 구현, 완료)과 그룹별 테스크를 작성 합니다.

 

 

 

 

간단 작성 순서

  1. IA와 동일하게 1Depth~4Depth의 기능을 트리구조로 개발해야 할 프로덕트의 부분들을 리스트업 합니다.
  2. 이 해당기능에 기획 / 디자인 / 개발 필요여부를 정의 합니다. 보통 개발방법론 또는 프로젝트에서는 “자원”으로 표현 합니다.
  3. 이에 따른 담당, 진행율, 진척도 관리를 합니다.

 

이외에 트렐로, MS프로젝트 등의 툴도 있지만 사실 엑셀이 저는 제일 편했습니다. 

WBS는 PM이 핸들링하면서 진도체크를 하고 리포트를 해야하는 특성이 있어서 그랬던듯 합니다. 

 

MS프로젝트로 프로젝트 WBS를 작성해보면, 친절한 가이드가 있어서 업무, 그리고 담당자(자원), 그리고 일정에 대한 관리 개념이 좀더 명확하게 해 줍니다.

이번책은 웹기획에 관련된 책이라 WBS는 나중에 PM, PO 관련 글을 쓸 때 더 깊이 다루겠습니다.

'앱.웹 기획 > 02. 분석 및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겟 고객을 정의하는 방법  (2) 2023.12.22
기능정의는 이렇게 합시다  (2) 2023.12.07
요구사항 정의  (0) 2023.12.06
유저 시나리오와 유저 스토리  (6) 2023.12.05
문제인식 및 목표설정  (0) 2023.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