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때때로 기술적으로나 디자인적으로 완성도가 떨어지는 앱이 오히려 완성도 높은 앱에 비해 더 성공적인 경우를 보게 됩니다. 성공 이후 완성도가 낮은 앱도 투자를 받아 이후에는 높은 완성도 앱을 선보이기는 합니다. 결국 앱 완성도가 성공의 핵심 조건은 아니라는 것인데, 그럼 무엇이 중요한 것일까요?
출시 전후별로 다르게 평가되는 기술과 디자인 완성도 의미의 차이
출시 후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확인되는 기술은 사용자 관점의 기술, 디자인 완성도가 포인트 이며, 이 완성도는 사용자 욕구 충족을 위한 기술과 디자인의 완성도 입니다.
출시 전 개발 과정에서 평가되는 기술, 디자인 완성도는 개발자/디자이너 관점의 완성도가 포인트 입니다. 이때의 완성도는 프로그래머와 디자이너의 성취 욕구와 관련한 완성도 입니다.
이런 차이로 인해 서비스 전 앱 개발 단계에서 평가되는 기술적, 디자인적 완성도와 실제 서비스가 시장에 론칭된 이후 사용자가 평가하는 기술, 디자인 완성도는 다르게 되는 것이고 실 이용자입장에서 격차가 생기는 이유입니다.
사용자는 왜 앱을 이용할까?
사용자의 앱 이용과 관련한 핵심 질문은 바로 이것입니다. 그러면 사용자 입장에서 이용할 마음이 없는 앱의 기술적, 디자인적 완성도는 의미 있는 것일까요?
기술과 디자인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라면 괜찬습니다. 문제 해결 및 효용, 혜택을 위한 앱 이용 측면이 아니라 어떤 기술을 사용했는지, 디자이너만의 성취감을 위한 디자인 되었는지 순수한 관심 측면에서 앱 이용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역시 이러한 사용자 역시 이용에 있어 수익과 시장 지배력을 가져다줄 수 없을 겁니다.
기업이 앱 또는 웹을 개발해 서비스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새로운 기술적트랜드 기술이 나와 최신의 기술을 반영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때문은 아닙니다. 결국 기업 입장에서 앱 개발의 근본 이유는 사용자의 수익성 있는 앱 이용이 되도록 목표화된 서비스를 편하고 쉽게 하는것 입니다. 그러기에 사용자가 왜 앱을 이용할까?라는 질문은 앱 기술 및 디자인 등 개발이 최신성이 아니라 방향성을 결정하는 질문이 되어야 하는는 것입니다.
사용자 니즈와 욕구 그리고 앱 가치
결국 사용자의 앱 이용은 자신의 필요에 의한 선택을 한 것이고,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와 욕구를 정확하게 캐치 하여 분석 설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앱은 사용자만으로 100% 앱의 가치가 피드백 됩니다.
정리해보면, 사용자의 니즈와 욕구의 해소 방향에 최적화된 기술과 디자인의 적용 및 반영이 의미가 있다는 말이 됩니다. 이것은 설계에서 출발하여 정의가 되어야 하는것이고, 아무리 최신의 기술과 트랜디한 디자인이라도 서비스 비즈니스 관점에서 사용자 니즈와 욕구 해결의 방향에 맞지 않는채로 구현이 된다면, 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간 쓰레가 될 것입니다.
개발자와 디자이너는 신규프로젝트에서 새로운 기술과 트랜디한 디자인을 써먹을 수 있게 됬다고 느끼는 부분이 가장 큰 흥분요소가 됩니다. 이러한 흥분을 가라앉히고 이해 시켜서 서비스 목표화와 같은 방향성의 개발언어, 디자인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기획자의 몫이 아닐까 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개발자가 보기에 기술적으로나 디자인적으로 더 별로인 앱이 기술적으로 디자인적으로 훤칠한앱보다 이용자가 많고 매출이 높을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담당하고 있는 프로덕트 서비스가 더 많은 자원투입을 통해 기술적으로나 디자인적으로 트랜디하고 최신성을 가지고 있으며 완성도가 높다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평가를 받는데 이용자의 인기가 별로라면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사용자의 문제해결에 적절한 앱인지.. 즉, 사용자의 필요와 욕구 해결에 적절한 해결책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말입니다. 즉, Only 사용자 입장에서의 앱 가치에 대하여 고민해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술과 디자인 수준이 아무리 높아도 사용자에게 가치 없는 앱이라면 이용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앱.웹 기획 > 04. 상세화면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경험이 웹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0) | 2023.12.23 |
---|---|
스토리보드의 개념과 세부적인 화면설계에 대하여 (0) | 2023.12.21 |
프로토타이핑 (2) | 2023.12.16 |
와이어프레임과 스토리보드 (0) | 2023.12.15 |
드래프트 와이어프레임 화면설계 (0)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