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3

어드민 IA 설계

스토리보드는 앱/웹을 사용하거나, 앱/웹을 관리하는 기준으로 작성되는 차이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이 둘은 음과 양, 프런트 엔드와 백 엔드의 관계처럼 연결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결 관계는 기능 정의와 화면 정의의 내용을 통해 표현됩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자 관점의 화면을 규정하는 스토리보드를 작성한 후, 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admin)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것이 오류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따라서 어드민 IA는 프론트 IA와 어드민 담당자의 업무분장 으로부터 출발 합니다. From 프론트 IA 아래와 같은 가상 서비스 프로덕트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여기에 포함되는 서비스는 포인트, 알림, 회원정보, 정기구독신청 등의 IA가 있습니다. 여기서 관리가 필요한 ..

웹기획자의 업무 분류 #1

웹기획자가 하는 일은 특별히 정의된것이 없습니다. 이유는 모든 범위에 관여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비즈니스분석, 시장조사, 벤치마킹을 위해 경제와 트렌드 그리고 법 및 정책 등의 사회과학을 알아야 하고 데이터분석, 마케팅, 유지관리, 시스템의 데이터관리를 위해 통계와 DB 등을 알아야 하고 UI/UX 및 기능을 설계하기위해 철학, 심리학, 인문학, 수학 등을 알아야 합니다. 또 협업을 위해 클라이언트/임원들을 위해 제안가 및 분석가가 되어야 하고 경우에따라 제안을 위해서 분석, 컨설턴트가 되어야 하고 개발될 서비스의 타당성, 아이디어도출, 합리적인 매출을 위한 서비스를 시스템화 하기 위해 발명가도 되어야 합니다. 서비스의 제휴, 연계를 위한 마케터, 영업맨도 되어야 하고 개발자/디자이너와 원할한 의사소통..

온라인 서비스 기획에 대한 메뉴얼 작성

꽤 오랜시간을 온라인기획, PM으로 지금까지 꾸준히 해 왔습니다 처음 웹기획이란 용어를 사용하다가 점점 커져가는 앱기획, 그리고 UI/UX외에도 비즈니스구조에 대한 분석, 시스템화에 대한 플로우 등의 기초기획이 점점 중요해지기에 "온라인서비스기획"이라는 용어로 지정 하였습니다. 서비스기획자는 웹기획자 입니다. 앱기획자도 맞지요. 그런데 여러 프로젝트 의뢰를 받으면서, 웹기획자, 기획자라는 호칭 외에, 앱기획자라는 호칭을 아직 못들어봤습니다. :) 웹기획자는 앱.웹 기획을 포함하고 있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편하게 앱기획자+웹기획자를 "웹기획자"라고 표현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웹기획 분야는 업무상, 직무상 많은 분류가 되었습니다. 그중, 매뉴얼에 맞다고 판단되는 아래의 기준으로 이야기를 해 ..

앱.웹 기획 2023.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