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웹 기획/01. 서비스기획 기초

웹기획자의 업무 분류 #1

BasicPlan 2023. 11. 28. 11:52
728x90

웹기획자가 하는 일은 특별히 정의된것이 없습니다. 이유는 모든 범위에 관여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비즈니스분석, 시장조사, 벤치마킹을 위해 경제와 트렌드 그리고 법 및 정책 등의 사회과학을 알아야 하고

데이터분석, 마케팅, 유지관리, 시스템의 데이터관리를 위해 통계와 DB 등을 알아야 하고

UI/UX 및 기능을 설계하기위해 철학, 심리학, 인문학, 수학 등을 알아야 합니다. 

 

또 협업을 위해

클라이언트/임원들을 위해 제안가 및 분석가가 되어야 하고 경우에따라 제안을 위해서 분석, 컨설턴트가 되어야 하고

개발될 서비스의 타당성, 아이디어도출, 합리적인 매출을 위한 서비스를 시스템화 하기 위해 발명가도 되어야 합니다. 

서비스의 제휴, 연계를 위한 마케터, 영업맨도 되어야 하고

개발자/디자이너와 원할한 의사소통을 위해 프로그램 로직을 이해하고 디자인/퍼블리싱/코딩에 대한 이해력을 가진 소통 전문 커뮤니케이터가 되어야 합니다.

 

좀...많지요?

 

이것도 생각나는 대로 읆어 본 것이고, 나중에 이야기 하겠지만, 항목별로 세부적인 페이퍼웤 등에 대한 내용은 제외했습니다. 

 

물론,  모든 기획자가 다 알아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웹기획의 업무도 세분화가 되어 있어서 필요한 부분을 묶어서 이야기 했습니다. 

즉 컨텐츠기획자가 영업, 프로젝트 진행에 관련된 업무를 할 필요는 없고, 

에이전시 소속 기획자가 서비스제휴나 타당성조사를 위한 일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때 그때 자신이 맡아하는 일에 따른 업무들이 있겠지요.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한번 웹기획자의 분류를 알아보까요? 

 

해외 채용 포털 몬스터닷컴을 기준으로 웹기획분야는 Information Architect 분야가 제일 많이 조회가 됩니다. 그리고 더 찾아보면, 아래와 같은 분류별 직업타이틀이 있습니다.

 

ㄱ. 제품 관련 : Project Manager, Web Product Manager, Website Production Manager
ㄴ. 콘텐트 관련 : Information Architect, Content Designer, Copywriter, Creative Arts Instructor
ㄷ.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경험 관련 : User Interface Designer, Web Application Designer, Usability Analyst
ㄹ. 기획 관련 : Web Producer, Web Business Analyst

 

전반적으로 Web Producer와 같은 포괄적인 의미의 타이틀은 자주 사용되지 않고, Information Architect나 Web Content Designer와 같은 세부적인 의미의 타이틀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잡코리아는 8개의 분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채용담당자가 등록 시 중복체크를 하도록 풀어 놓았겠지만,  UI/UX기획을 User Interface 기획 등으로 풀어서 명확하게 하면 어떨지 십습니다. 그리고 QA에 대한 직무가 없는것도 눈에 띄입니다. 

 

 

 

 

인크루트는 분야가 더 많네요. 네이밍을 보니 해외업무분류를 번역해서 분류한것으로 보이는데,  마케팅에 대한 분류는 맞지만, 역시 중복이되는 분류로 명확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됩니다. 
참고로 정보설계는 스토리보드와 동일하고 정보설계속에 스토리보드, UI디자인기획 등이 포함 되는게 어떨지 싶습니다. 

 

 

채용담당자 기준으로 채용공고 등록 시, 모호하고 중복성있는 잡타이틀을 중복선택하는것 보다, 명확한 분류를 기준으로 채용담당자가 중복선택을 하게 하는것이 나을것 같은데요. 

 

여튼, 위 분류로 보면 아직 국내는 웹 관련 기획업무의 직업군 분류는 명확하게 사용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기준으로 가지고, 위의 업무별 기획담당의 분류를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작성해 보았습니다. 

  • 웹 기획(웹 PD, IA, 기능정의, 플로우차트, 스토리보드), PM, 콘텐트 기획
  • 웹 마케팅(온라인 프로모션, 소셜마케팅 등), 웹 광고기획(프로모션, 데이터분석, 로그분석, 키워드광고)
  • 웹 서비스 기획 (서비스개선, VOC관리, 오류해결)
  • QA 기획 (UAT 등)

 

세부 업무와 필요스킬에 대해서는 다음에 이어서 작성 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