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마 2

스토리보드, 작업 효율성 높이기

1. 반복되는 화면 작업을 줄입니다. 기본 UI 레이아웃은 문서 초기에 별도 장표로 명시하여 UI를 모든 장표마다 볼 필요 없이 핵심 컨텐츠 레이아웃만 설계 하는게 좋습니다. 즉 UI 레이아웃은 기본 골격에 해당 하기에 UI LayOut을 만들어 전체 UI를 설계하고, 각 주요 상세화면에서 해당 LayOut의 주요컨텐츠 부분을 설계 하는게 좋습니다. 또 주소 찾기, 단말의 사진 선택하기, 날씨 연동 프로세스와 같이 서비스의 하위 팝업 또는 문서, 단순 기능등은한 개의 서비스 내에서 반복되어 사용되기에 공통 화면 섹션을 분리하여 한 번만 명시하면 좋습니다. 추가로 디스크립션은 최소화하고 모든 부분이 설계안에서 도식화 하여 보여주는게 제일 좋습니다. 하다못해 어드민의 경우 디스크립션 없이 메뉴얼 형태로 타이..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이란? 일반적으로 프로덕트를 설계하면 본격적으로 디자인, 개발순서로 진행이되면 도중에 중단하거나 취소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를 검증 또는 시뮬레이션 하여 위험 부담을 최소화 해야 겠지요. 리차드의 소프트웨어개발 가이드 https://www.sandraandwoo.com/2012/11/19/0430-software-engineering-now-with-cats/ 기존에는 웹/앱/서비스 등을 제작할 때, 폭포수(Waterfall) 방법론이라 하여, 기획 – 개발 – 디자인 등을 “단계”로 구분했습니다. 각 단계가 끝나기 전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없었죠. 서비스 개발을 위해 인력이 대규모로 투입되고, 대량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던 시절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에서는 개발이 모두 ..